컨텐츠
임진조국전쟁시기 조선봉건정부가 취한 군사조직지휘체계, 신분구성, 병종 등에 대하여 서술하였다.
목차
머리말 - 3
제1장. 임진조국전쟁전 군사제도 - 5
제1절. 대립, 군포제의 실시와 그 중대 - 5
제2절. 중앙군의 약화 - 16
제3절. 지방군의 동원체계─진관제의 파탄과 제승방략제의 실시 - 21
제4절. 방어청과 비변사의 설치 - 25
제2장. 임진조국전쟁시기 중앙군사제도 - 32
제1절. 훈련도감의 설치와 그것이 전쟁행정에 미친 영향 - 33
1. 훈련도감의 설치 - 33
2. 훈련도감이 전쟁행정에 미친 영향 - 48
제2절. 기타 중앙군과 중앙군에 대한 지휘체계의 수립 - 53
1. 기타 중앙군의 설치 및 확대 - 53
2. 중앙군에 대한 지휘체계의 수립 - 60
제3장. 임진조국전쟁시기 지방군사제도 - 65
제1절. 속오군의 조직 - 65
1. 속오군 창설 - 65
2. 속오군의 편성과 봉건정부의 대우조치 - 72
3. 속오군의 역할 - 87
제2절. 임진조국전쟁시기 지방군의 지휘체계 - 95
1. 속오군의 지휘체계 - 95
2. 수군의 지휘체계 - 100
3. 기타 지방군의 변화 및 지휘체계 - 101
제4장. 임진조국전쟁시기 중앙군과 지방군의 신분구성 및 병종 - 108
제1절. 임진조국전쟁시기 중앙군과 지방군의 신분구성 - 108
1. 중앙군의 신분구성 - 108
2. 지방군─속오군의 신분구성 - 115
제2절. 임진조국전쟁시기 중앙군과 지방군의 병종 - 123
1. 륙군의 병종 - 123
2. 수군의 병종 - 126
3. 속오군의 병종 - 129
맺는말 - 135
제1장. 임진조국전쟁전 군사제도 - 5
제1절. 대립, 군포제의 실시와 그 중대 - 5
제2절. 중앙군의 약화 - 16
제3절. 지방군의 동원체계─진관제의 파탄과 제승방략제의 실시 - 21
제4절. 방어청과 비변사의 설치 - 25
제2장. 임진조국전쟁시기 중앙군사제도 - 32
제1절. 훈련도감의 설치와 그것이 전쟁행정에 미친 영향 - 33
1. 훈련도감의 설치 - 33
2. 훈련도감이 전쟁행정에 미친 영향 - 48
제2절. 기타 중앙군과 중앙군에 대한 지휘체계의 수립 - 53
1. 기타 중앙군의 설치 및 확대 - 53
2. 중앙군에 대한 지휘체계의 수립 - 60
제3장. 임진조국전쟁시기 지방군사제도 - 65
제1절. 속오군의 조직 - 65
1. 속오군 창설 - 65
2. 속오군의 편성과 봉건정부의 대우조치 - 72
3. 속오군의 역할 - 87
제2절. 임진조국전쟁시기 지방군의 지휘체계 - 95
1. 속오군의 지휘체계 - 95
2. 수군의 지휘체계 - 100
3. 기타 지방군의 변화 및 지휘체계 - 101
제4장. 임진조국전쟁시기 중앙군과 지방군의 신분구성 및 병종 - 108
제1절. 임진조국전쟁시기 중앙군과 지방군의 신분구성 - 108
1. 중앙군의 신분구성 - 108
2. 지방군─속오군의 신분구성 - 115
제2절. 임진조국전쟁시기 중앙군과 지방군의 병종 - 123
1. 륙군의 병종 - 123
2. 수군의 병종 - 126
3. 속오군의 병종 - 129
맺는말 - 135
배송정보
• 평일 오후 3시까지 결제 완료건 당일 발송.
(출판사의 입고지연이나 배송사의 물량과다로 인해 1~2일 지연될 수도 있습니다.)